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피에르 퀴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피에르 퀴리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다. 그는 형 자크 퀴리와 함께 압전 효과를 발견했고, 마리 퀴리와 공동으로 방사성 물질을 연구하여 폴로늄과 라듐을 발견했다. 퀴리 부부는 방사능 연구로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1906년 마차 사고로 사망했다. 퀴리의 이름을 딴 퀴리(Ci)는 방사능 단위로 사용되며, 원자 번호 96번 원소 퀴륨은 퀴리 부부의 성에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퀴리가 - 퀴리 부부
    퀴리 부부는 클로드 피노토가 1996년에 제작한 영화이다.
  • 퀴리가 -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는 아내 이렌 졸리오퀴리와 함께 인공 방사성 동위원소 합성으로 1935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했으며 전후 프랑스 원자력 개발을 주도하고 평화 운동에도 헌신했다.
  • 19세기 물리학자 - 레옹 푸코
    레옹 푸코는 푸코 진자를 이용한 지구 자전 증명, 회전 거울을 사용한 빛의 속도 측정, 와전류 발견, 푸코 테스트 고안 등 광학과 역학 분야에 공헌한 프랑스의 물리학자이다.
  • 19세기 물리학자 - 니콜라 테슬라
    니콜라 테슬라는 교류 전기 시스템과 유도 전동기를 개발하고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세르비아계 미국인 발명가이다.
  • 20세기 화학자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 20세기 화학자 - 제니퍼 다우드나
    제니퍼 다우드나는 1964년생 미국의 생화학자로, CRISPR-Cas9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윤리적 문제 논의와 기술 상용화에도 기여한다.
피에르 퀴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퀴리, 1906년경
이름피에르 퀴리
로마자 표기Pierre Curie
출생일1859년 5월 15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제2제국
사망일1906년 4월 19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제3공화국
국적프랑스
가족퀴리
배우자마리 스크워도프스카 (1895년 결혼)
자녀이렌
에브
형제자매자크 퀴리 (형)
학력 및 경력
모교파리 대학교 (이학 박사)
박사 학위 논문 제목여러 온도에서 물체의 자기적 성질
박사 학위 논문 발표 연도1895년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지도 교수가브리엘 리프만
박사 과정 제자폴 랑주뱅
앙드레 루이 드비에른
마르그리트 페레
직장파리 대학교
업적
주요 업적방사능 개척 연구
폴로늄라듐 발견
압전 효과 발견
퀴리 법칙
퀴리 원리
퀴리 온도
퀴리-바이스 법칙
평균장 이론
퀴리 (단위)
연구 분야물리학, 화학
수상
수상 내역데이비 메달 (1903년)
노벨 물리학상 (1903년)
마테우치 메달 (1904년)
엘리엇 크레슨 메달 (사후, 1909년)
서명

2. 생애

피에르 퀴리는 1859년 5월 15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외젠 퀴리(Eugène Curie)는 알자스 출신의 위그노(개신교 신자)계 의사였고, 어머니는 소피-클레르 퀴리(Sophie-Claire Curie)였다. 10대 초반부터 수학기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16세에 파리 대학교(소르본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18세에는 물리 과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4][5]

마리 스쿼도프스카와 피에르 퀴리, 1895


가정 형편이 어려워 바로 박사 학위 과정을 밟지 못하고 실험실 조교로 일했다.[6] 1895년 파리 대학교에서 자기 연구를 바탕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8][9] 이후 물리학 교수가 되었고, 1900년에는 과학부 교수가 되었다.[10]

1880년, 형 자크 퀴리와 함께 압전 효과를 발견했고,[11] 이듬해에는 그 반대 효과를 증명했다.[11] 이는 수정 진동자에 응용되어 현재 거의 모든 디지털 전자 회로에서 사용되고 있다.[13]

1894년 마리아 스쿼도프스카를 만나 1895년 7월 26일에 결혼했다.[6][18] 퀴리 부부는 서로에게 헌신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이후 아내와 함께 방사능 연구를 수행하여 폴로늄라듐을 발견했다.[50]

1906년 4월 19일, 피에르 퀴리는 파리에서 마차 사고로 사망했다.[41] 1995년 4월, 파리의 팡테옹 납골당으로 이장되었다.[58]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피에르 퀴리는 1859년 5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외젠 퀴리(Eugène Curie, 1827~1910)는 알자스 출신의 위그노(개신교 신자)계 의사였고, 어머니는 소피-클레르 퀴리(Sophie-Claire Curie, née Depouilly, 1832~1897)였다. 퀴리는 학교에 가는 대신 아버지와 가정교사, 형 자크에게서 교육을 받았다.[48][49] 10대 초반부터 수학기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16세에 파리 대학교(소르본느)에 입학하여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 18세에는 파리 대학교에서 물리 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3][4][5]

가정 형편이 어려워 바로 박사 학위 과정을 밟지 못하고, 학사 학위 준비 중에는 과학부의 장-귀스타브 부르부즈(Jean-Gustave Bourbouze)의 실험실에서, 이후에는 실험실 조교로 일하며 연구를 계속했다.[6][7][49]

2. 2. 연구 활동

피에르와 마리 퀴리의 실험실


퀴리는 아내 마리 퀴리와 함께 폴로늄라듐을 분리하는 작업을 했다. 그들은 "방사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고, 그 연구의 선구자였다. 이 연구는 피에르와 그의 형 자크 퀴리가 제작한 민감한 압전 전위계를 사용했다.[25] 1903년, 런던 왕립 학회는 퀴리 부부의 연구를 기리기 위해 피에르를 초청하여 연구 결과를 발표하도록 했다.[29] 켈빈 경은 마리 퀴리가 강연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옆에 앉아 피에르가 그들의 연구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배려했고, 피에르를 위한 오찬을 열었다.[29] 런던에서 피에르와 마리는 런던 왕립 학회의 데이비 메달을 수여받았다.[30] 같은 해 피에르와 마리 퀴리, 그리고 앙리 베크렐은 방사능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1]

퀴리와 그의 제자 알베르 라보르드는 라듐 입자에서 열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여 핵 에너지를 최초로 발견했다.[32] 퀴리는 또한 방사성 물질의 방사선 방출을 조사했고,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출 중 일부는 양전하, 일부는 음전하, 일부는 중성임을 보여주었다. 이는 알파, 베타감마선에 해당한다.[33]

퀴리는 방사성 물질 시료의 강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측정 단위(초당 3.7 × 1010 붕괴 또는 37 기가베크렐)이며, 1910년 방사선학회에서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1][22]

2. 2. 1. 압전 효과 발견

1880년, 피에르 퀴리는 파리 대학교 광물학 조교였던 형 자크 퀴리와 함께 결정에 압력을 가하면 전위가 발생하는 압전 효과(피에조 효과)를 발견하여 발표했다.[48] 1881년에는 반대로 결정에 전계를 가하면 미세하게 변형되는 현상을 확인했다.[49] 이 현상은 오늘날 수정 진동자에 응용되어 많은 디지털 회로에서 사용되고 있다.

2. 2. 2. 자성 연구

''다양한 온도에서 물질의 자기적 특성'' (퀴리의 박사 학위 논문, 1895)


피에르 퀴리는 자기학 박사 학위 연구 이전에, 자기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매우 민감한 비틀림 저울을 설계하고 완성했다. 이 장비의 변형은 그 분야의 미래 연구자들에 의해 흔히 사용되었다. 그는 박사 학위 논문에서 강자성, 상자성, 그리고 반자성을 연구했고, 상자성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발견했는데, 이는 현재 퀴리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퀴리의 법칙에서 물질 상수는 퀴리 상수로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강자성 물질이 임계 온도 전이를 나타내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물질이 강자성 거동을 잃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현재 퀴리 온도로 알려져 있다. 퀴리 온도는 판구조론 연구, 저체온증 치료, 카페인 측정 및 외계 자기장 이해에 사용된다.[20]

피에르 퀴리는 현재 ''퀴리 비대칭 원리''로 알려진 것을 공식화했다. 즉, 물리적 효과는 그 효과적인 원인에 없는 비대칭성을 가질 수 없다.[23][24] 예를 들어, 무중력 상태의 모래의 무작위 혼합물에는 비대칭성이 없다(등방성임). 중력장을 도입하면 장의 방향 때문에 비대칭성이 생긴다. 그러면 모래 알갱이가 밀도가 깊이에 따라 증가하면서 '자체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모래 알갱이의 방향 배열을 포함한 이 새로운 배열은 실제로 분리를 일으키는 중력장의 비대칭성을 반영한다.

피에르 퀴리는 박사 논문의 주제로 강자성, 상자성, 반자성에 대해 연구하여 상자성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발견하고, 소위 "퀴리의 법칙"으로 정식화했다.[48] 그 식에 나오는 물질 고유의 상수는 "퀴리 상수"라고 불린다. 또한 강자성체가 온도를 높이면 그 성질을 잃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업적에 따라 철 등의 강자성체가 자성을 잃는 온도를 "퀴리 온도(퀴리점, Curie Temperature)"라고 한다. 또한 고감도 과학 저울도 제작했는데, 이것은 퀴리 저울이라고 불린다.[48]

피에르는 또한, 현재 "퀴리의 원리"로 알려진 원리를 정식화했다. 즉, 물리 현상에서 원인에 비대칭성이 없다면 결과에도 비대칭성은 나타나지 않는다는 원리이다. 예를 들어, 무중력 상태에서 무작위로 섞인 모래에는 비대칭성이 없다(등방성이다). 거기에 중력장을 도입하면, 중력의 방향에 따라 비대칭성이 나타난다. 그러면 모래는 중력 방향으로 깊어질수록 밀도가 높아져 중력장의 비대칭성을 반영한 상태가 된다.

2. 2. 3. 방사능 연구

1895년 7월 26일 마리 퀴리와 결혼하였다.[48] 이후 아내와 함께 방사성 물질 연구를 수행하여 폴로늄라듐을 발견하였고,[50] "방사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 연구는 피에르와 그의 형 자크 퀴리가 제작한 민감한 압전 전위계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51] 1898년 12월 26일, 피에르 퀴리는 아내 및 M. G. 벰몽과 함께 라듐과 폴로늄 발견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26]

퀴리와 그의 제자 알베르 라보르드는 라듐 입자에서 열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여 핵 에너지를 최초로 발견했다.[32] 또한 퀴리는 방사성 물질의 방사선 방출을 조사했고,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출된 방사선 중 일부는 양전하, 일부는 음전하, 일부는 중성이란 것을 확인했다. 이는 각각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에 해당한다.[33]

2. 3. 결혼과 가정 생활



1894년 봄, 폴란드 출신의 마리아(프랑스식 이름 마리) 스쿼도프스카를 만나 열렬한 구혼 끝에 1895년 7월 26일에 결혼하였다.[48] 퀴리는 마리아 스쿼도프스카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가 서로 가까이에서, 우리의 꿈에 사로잡혀 인생을 보낼 수 있다면, 그것은 아름다운 일일 것이고, 감히 희망할 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당신의 애국적인 꿈, 우리의 인도주의적 꿈, 그리고 우리의 과학적 꿈."이라고 하였다.[6] 퀴리 부부는 행복하고 다정한 결혼 생활을 했으며, 서로에게 헌신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피에르 퀴리와 마리 퀴리의 딸인 이렌 졸리오퀴리와 사위인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는 방사능 연구에 참여한 물리학자들이었으며, 각각 노벨상을 수상했다.[36] 퀴리 부부의 또 다른 딸인 에브 퀴리는 어머니에 대한 전기를 썼다.[37] 그녀는 퀴리 가족 중 유일하게 물리학자가 아닌 사람이었다. 에브는 1965년 유니세프(UNICEF)를 대표하여 노벨 평화상을 받은 헨리 리처드슨 라부이스 주니어와 결혼했다.[38][39] 피에르 퀴리와 마리 퀴리의 손녀인 엘렌 랑주뱅졸리오는 파리 대학교의 핵물리학 교수이며, 피에르 퀴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손자인 피에르 졸리오는 생화학자이다.[40]

2. 4. 사망

피에르 퀴리는 1906년 4월 19일 파리에서 마차 사고로 사망했다. 비 오는 날 콩티 강변의 혼잡한 도팽 거리(Rue Dauphine)를 건너던 중 미끄러져 말이 끄는 무거운 수레에 치였다. 바퀴 하나가 그의 머리를 덮쳐 두개골 골절로 즉사했다.[41]

퀴리 부부는 연구 과정에서 많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었고,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질병을 겪었다.[42] 피에르의 건강 악화가 방사선 장애 때문이라는 견해가 있으며,[56] 사망 당시 사고도 방사선 장애의 영향으로 보는 설이 있다.[57]

1995년 4월, 피에르와 마리 퀴리는 파리의 팡테옹 납골당으로 이장되었다.[58]

3. 수상 경력

4. 기타


  • 방사능의 단위 퀴리(Ci)는 1910년 방사선 회의에서 피에르 퀴리와 마리 퀴리의 공적을 기념하여 명명되었다.[59][60] 이후 퀴리 단위가 피에르와 마리 중 누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61]
  • 원자번호 96번 원소 퀴륨은 퀴리 부부의 성에서 유래한다.
  • 파리 제6대학교는 피에르·마리 퀴리대학교로 명명되었다. 1968년 파리대학교의 이학·의학부가 분할될 때 설립되었으며, 산업계와 연계하여 과학 및 기술 분야의 연구와 인재 육성을 수행한다.[62]

참조

[1]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03 https://www.nobelpri[...] Nobel Prize 2016-07-08
[3] 웹사이트 Pierre Curie https://biography.yo[...] 2020-12-11
[4] 웹사이트 Pierre Curie https://www.atomiche[...] 2020-11-06
[5] 웹사이트 Pierre Curie https://history.aip.[...] 2020-12-11
[6] 서적 Marie Curie : a life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1996
[7] 간행물 Marie Curie et Les conquérants de tome : 1896–2006
[8] 웹사이트 Curie, Pierre, 1859–1906 https://history.aip.[...] 2020-10-09
[9] 웹사이트 Marie Curie – A Student in Paris (1891–1897) https://history.aip.[...] 2020-11-14
[10]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03 https://www.nobelpri[...] 2020-10-09
[11] 학술지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March 1880: The Curie Brothers Discover Piezoelectricity https://www.aps.org/[...] 2014-03
[12] 학술지 Mastering picocoulombs in the 1890s: The Curies' quartz–electrometer instrumentation, and how it shaped early radioactivity history 2009-05
[13] 학술지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iezoelectric Materials for Ultrasound Generation and Detection https://web.archive.[...] 2011-11
[14] 학술지 LXXIII. Remarks on the "Curie" scale of temperature 1938
[15] 서적 Nobel Lectures, Physics 1901–1921 https://www.nobelpri[...] Elsevier Publishing Company
[16] 서적 Radioactive HarperCollins 2011
[17] 서적 Radioactive HarperCollins 2011
[18] 서적 Curie, Maria ze Skłodowskich In Polski słownik biograficzny 1938
[19] 서적 Obsessive Genius: The Inner World of Marie Curie (Great Discoveries)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11-05-16
[20] 서적 Radioactive HarperCollins 2011
[21] 웹사이트 - Nuclear Engineering and Radiation Science https://web.archive.[...] 2020-12-11
[22] 서적 Semiannual Report of the Atomic Energy Commission, Volume 9 https://books.google[...]
[23] 학술지 Which Curie's Principle? http://www.jenanni.c[...] 2016-06-16
[24] 서적 Circular dichroism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Wiley-VCH 2000
[25] 웹사이트 Marie and Pierre Curie and the Discovery of Polonium and Radium https://www.nobelpri[...] 2014
[26] 간행물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Paris 1898-12-26
[27] 웹사이트 2015 Awardees http://www.scs.illi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School of Chemical Sciences 2015
[28] 웹사이트 Citation for Chemical Breakthrough Award http://www.scs.illi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School of Chemical Sciences 2015
[29] 웹사이트 Marie Curie – Recognition and Disappointment (1903–1905) https://history.aip.[...] 2020-11-06
[30]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03 https://www.nobelpri[...] 2020-11-14
[31] 뉴스 Pierre Curie https://www.atomiche[...] 2020-11-14
[32] 학술지 Controversy and Consensus: Nuclear Beta Decay 1911–1934 https://books.google[...] 2000-07
[33] 서적 Macmillan encyclopedia of chemistry Macmillan Reference USA 1997
[34] 서적 Pierre Curie, Translated by Lilananda Dasa and Joseph Cudnik Flammarion 1995
[35] 서적 Who's who in hell: a handbook and international directory for humanists, freethinkers, naturalists, rationalists, and non-theists Barricade Books 2017-02-04
[3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35: Frédéric Joliot, Irène Joliot-Curie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08-09-04
[37] 서적 Madame Curie https://archive.org/[...] William Heinemann 1937
[38] 뉴스 Eve Curie Labouisse, Mother's Biographer, Dies at 102 https://www.nytimes.[...] 2016-07-09
[39] 서적 Who's who in hell : handbook and international directory for humanists, freethinkers, rationalists, and non-theists https://archive.org/[...] Barricade Books 2000
[40] 뉴스 Hélène Langevin-Joliot: A Granny, More Than a Physicist http://www.oir.pku.e[...] 2016-07-09
[41] 웹사이트 Prof. Curie killed in a Paris street https://www.nytimes.[...] 2018-07-25
[42] 학술지 Pierre Curie, 1859–1906 2007
[43] 뉴스 These personal effects of 'the mother of modern physics' will be radioactive for another 1500 years https://www.business[...] 2016-07-09
[44] 서적 Pierre et Marie Curie : [exposition], Paris, Bibliothèque nationale, [octobre-décembre] 1967 / [catalogue réd. par Marie-Louise Concasty] ; [préf. par Étienne Dennery] https://gallica.bnf.[...] 2020-11-06
[45] 서적 Radioactive : Marie And Pierre Curie : a tale of love and fallout HarperEntertainment 2010
[46] 뉴스 "Radioactive: Marie & Pierre Curie – A Tale of Love and Fallout" by Lauren Redniss https://www.washingt[...] 2011-11-11
[47] 웹사이트 "Matteucci" Medal http://www.accademia[...] 2016-07-09
[48] 서적 エーヴ (2006)、pp.173-201、ピエール・キュリー
[49] 서적 米沢 (2006)、pp.99-100、ピエール・キュリー
[50] 서적 エーヴ (2006)、pp.222-237、ラジウムの発見
[51] 웹사이트 精密計測による新元素の発見 図7 http://www.jfcr.or.j[...] ㈱医療科学社 月刊INNRRVISION 1998年4月号/財団法人 癌研究所 2010-12-10
[52] 서적 エーヴ (2006)、pp.256-275、苦難続き
[53] 웹사이트 Prof. Curie killed in a Paris street http://query.nytimes[...] 1906-04-20
[54] 서적 エーヴ (2006)、pp.346-369、一九〇六年四月十九日
[55] 서적 パサコフ (2007)、pp.85-96、残酷な栄誉
[56] 서적 科学者人名事典 丸善株式会社 1997-03-31
[57] 웹사이트 【怖すぎ】なぜキュリー夫人はノーベル賞授賞式を欠席したのか? <天才科学者の最期> お知らせ・コラム 葬式・葬儀の雅セレモニー https://www.miyabi-s[...] 株式会社 雅セレモニー 2023-11-26
[58] 웹사이트 キュリー夫人の死--100年目の真実 http://www.jfcr.or.j[...] ㈱医療科学社 月刊INNRRVISION 1998年4月号/財団法人 癌研究所 2010-12-10
[59] 웹사이트 curie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0-12-10
[60] 웹사이트 How the Curie Came to Be http://www.orau.org/[...] 2001-12-10
[61] 웹사이트 How the Curie Came to Be http://www.orau.org/[...] 2008-04-30
[62] 웹사이트 フランス パリ第6大学ピエール・マリー・キュリー http://www.bureau.to[...] 東北大学国際交流課 2010-12-10
[63] 웹사이트 パリのメトロ7号線で探す観光ガイド http://www.hitoripar[...] パリ観光ガイドNana 2010-12-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